삼성전자와 LG전자가 내년 '갤럭시S6'와 'G플렉스2'로 두 번째 플렉서블 기술 대결을 펼친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내년 2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될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15'에서 플렉서블 기술이 적용된 갤럭시S6와 G플렉스2를 선보일 예정이다.
![](http://image3.inews24.com/image_gisa/201411/1415760485245_1_114912.jpg)
갤럭시S6에는 우측 화면이 구부러진 '엣지 커브드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량한 '듀얼 엣지 커브드 디스플레이 패널'이 탑재될 예정이다.
이 패널은 QHD+ 해상도(2천560x1천440+160+160)를 지원하는 슈퍼 AMOLED 패널로, 좌·우 화면이 7R(반지름 7mm인 원의 휘어진 정도)의 멀티 곡률(가장자리를 한 번 더 구부리는 방식)이 적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화면 양쪽이 구부러져 있는 커브드폰으로, 삼성전자는 사용자가 중앙의 메인 화면을 일반 스마트폰처럼 사용하면서 좌·우 측면 화면만을 별도로 활용할 수 있는 사용자경험(UX)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LG전자가 출시할 G플렉스2(프로젝트명 Z2)는 6인치 풀HD 해상도(1천920x1천80)의 플라스틱OLED 패널을 탑재, 사용자가 원하는 곡률에 맞게 폰을 휠 수 있는 가변형 기술이 적용될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LG는 이미 대형 올레드 TV에서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곡률을 변경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며 "소형 디스플레이 패널 역시 가변형 기술적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http://image3.inews24.com/image_gisa/201411/1415760486413_2_115317.jpg)
실제로 LG전자가 지난 1월 미국 특허청에 등록한 플렉서블 폰 관련 내용을 보면 전기신호에 따라 곡률을 변경할 수 있는 형상기억합금을 사용한 스마트폰이다.
예컨대 인체에 흐르는 전류 신호를 감지해 얼굴에 스마트폰을 갖다대면 굴곡에 맞게 폰이 자동으로 구부러지고, 영화를 감상하기 위해 폰을 가로로 잡았을 때는 시청각도를 고려한 곡률로 변경되는 식이다.
LG측 한 관계자는 "현재 G플렉스의 후속 모델이 프로젝트명 Z2로 LG전자에서 개발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기존에 HD급 해상도로 출시됐던 G플렉스의 경우 출시일자를 앞당기다보니 해상도가 낮았지만 후속기종은 풀HD이상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관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니혼케이자이신문, 에버노트에 2천억원 투자 (0) | 2014.11.13 |
---|---|
애플 제품을 순서대로~ (0) | 2014.11.12 |
中 싱글데이 대박…알리바바 1시간만에 20억불어치 판매 (0) | 2014.11.11 |
故 신해철 수술한 강세훈 원장은 누구? (1) | 2014.11.11 |
이재용 부회장 세운 인터넷벤처 아듀…가치네트 17일 청산 (0) | 2014.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