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디자인 완성도 높이고 무선 이어폰 부가수익 노려…'단자 유지' 선택한 삼성, LG "고객 선택권 보장"
유선 이어폰으로 연결하는 3.5㎜ 단자(이어폰 단자)를 없앤 스마트폰들이 줄줄이 출시되고 있다. 디자인 완성도를 높인다는 명분도 있지만 부가 상품으로 무선 음향기기 구매를 유도하려는 의도도 깔려 있다. 반면 삼성전자와 LG전자는 3.5㎜ 단자를 유지하는 전략을 고수하고 있다. 소비자들의 음향기기 선택권을 보장한다는 취지다.
◇애플·구글·화웨이 이어 소니도 '3.5㎜' 없애= 소니가 'MWC(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18'에서 공개한 차기작 '엑스페리아 XZ2·XZ2 콤팩트'는 소니 스마트폰 최초로 3.5㎜ 단자를 없앴다. 화웨이가 오는 27일 프랑스 파리에서 공개하는 'P20' 역시 전작 'P10'과 달리 3.5㎜ 단자가 빠진 것으로 알려졌다.
스마트폰에서 가장 먼저 3.5mm 단자를 없앤 메이커는 애플이다. 애플은 2016년 출시한 '아이폰7'부터 3.5㎜ 단자를 없앴다. 소비자의 선택권을 침해한다는 불만이 쏟아져 나왔지만, 최신작 '아이폰8', '아이폰X(텐)'에도 3.5㎜ 단자를 되살리지 않았다. 지난해 하반기 출시된 구글의 '픽셀2', 화웨이의 '메이트10프로' 역시 애플의 아이폰과 같은 길을 택했다.
![]() |
소니 스마트폰 중 처음으로 3.5㎜ 단자를 없앤 '엑스페리아 XZ2'. /사진제공=소니코리아. |
애플은 아이폰7와 무선 이어폰 ‘에어팟’을 함께 내놔 큰 성공을 거뒀다. 시장조사업체 NPD에 따르면 지난해 7월 기준 미국 무선 이어폰 시장에서 애플의 점유율은 85%에 달한다. 에어팟 하나로 이뤄낸 성과다. 애플은 에어팟 차기작으로 고성능 무선 헤드폰 출시를 준비 중이다.
![]() |
애플의 무선 이어폰 '에어팟'. /사진제공=애플코리아. |
◇'3.5㎜' 유지, 삼성·LG… "소비자 선택권 보장"= 반면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스마트폰에서 3.5㎜ 단자를 고집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차기작 ‘갤럭시S9’은 3.5㎜ 단자가 사라질 것이란 당초 전망과 달리 3.5㎜ 단자를 남겼다. LG전자가 상반기 중 선보일 신제품 ‘G7’(가칭) 역시 3.5㎜ 단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와 LG전자 역시 다양한 무선 음향기기를 출시하며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3.5㎜ 단자를 제거해 무조건 무선 음향기기만 강요하는 방식보다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사용환경을 제공하는 형태로 차별화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양사는 방수·방진 기술을 고도화해 3.5㎜ 단자가 있어도 가장 높은 방수·방진 등급인 IP68을 따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선택권을 보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IP68등급 방수·방진을 탑재하면서도 3.5㎜ 단자를 유지한 것 역시 이런 이유”라고 말했다.
![]() |
3.5㎜ 단자를 유지한 삼성전자 '갤럭시S9'. /사진제공=삼성전자. |
728x90
반응형
'관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 안 팔리는 삼성전자…기회 연신 놓치는 LG전자 (0) | 2018.03.16 |
---|---|
페이스북 이어 구글도 가상화폐 광고 중단…6월 시행 (0) | 2018.03.15 |
"13세 안되면 소셜미디어 금지" 영국이 먼저 나섰다 (0) | 2018.03.12 |
아이폰, 물 속에서 충전 가능해질 듯...애플 라이트닝 단자 방수 특허 (0) | 2018.03.10 |
갤럭시S9 MS 에디션 예판 시작 (0) | 2018.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