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심사

드론 농약 살포 7분에 200만원? 허와 실은

728x90
반응형

드론(무인기) 자격증이 화제다. 국내외에서 다양한 무인기 활용 사례가 발표된 가운데, 무인기 조작·제어·유지보수 관리자 역할이 주목받은 덕분이다. 드론 자격증을 취득해 비료를 뿌리는 일을 하면, 7분만에 200여만원을 벌 수 있다는 예능 프로그램 출연자의 멘트도 이슈가 됐다.

업계는 드론이 유망 분야인 것은 인정하면서도, 허와 실을 상세히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한다. 먼저 예능 프로그램 출연자가 언급한 '드론 비료 살포'는 거의 불가능하다. 하늘을 나는 드론은 가벼워야 하므로 적재 용량이 제한된다. 비료는 무거워 많이 실을 수 없고 그만큼 경제성이 떨어진다. 비료가 뭉치면 드론의 무게 중심을 흐뜨려 비행 안정성도 해친다.

'드론 농약 살포'는 가능하며 지금도 쓰이고 있다. 국내외 무인기 제조사도 방제 드론을 여럿 출시했다. 그럼에도 7분에 200만원을 받을 정도로 유망한 분야는 아니라는 평가다. 농약 살포 드론 운용 시기는 방제기, 1년 중 2~3개월에 불과하다. 운용 비용도 알려진 것보다 훨씬 작은, 인건비와 대등한 수준이어서 농약 살포 드론 본체 가격(최소 1000만원 이상)을 회수하는 데 수년 이상 소요된다.

▲해외에서는 드론을 농작물 수확량 증대에 활용하고 있다. / DJI 제공

드론 운용 시간은 20여분 내외로 짧아 넓은 구역 방제가 어렵다. 대단위 논밭에는 헬기를 비롯한 기존 농약 살포 방식이 더 경제적이다. 반대로 구역이 좁으면 인력 방제 효율이 더 높다. 우리나라는 바람이 많이 부는 환경으로 드론 농약 살포 효과가 떨어진다. 바람이 세거나 비가 내릴 경우 드론을 운용할 수 없는 것은 물론이다. 한번에 살포할 수 있는 농약 종류도 제한적이고, 드론 유지보수 비용도 무시할 수 없다.

업계는 농약 살포처럼 단순한 용도로 드론을 바라볼 것이 아니라, 응용 분야와 애플리케이션을 확장해 영농과학화 수단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실제로 해외 드론 산업계는 농약 살포뿐 아니라 폭넓은 운용 방안을 마련했다.

드론에 열감지 카메라를 장착, 농작물 생육 현황과 질소량을 파악해 생산량을 늘린 사례가 대표적이다. 항공 촬영 드론으로 농지·농로를 정밀히 측량하면 운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농약 살포 드론은 넓은 농지보다는, 양계장이나 산 속 특용작물 재배지 등 좁은 곳의 방역 도구에 더 알맞다.

업계 관계자는 "드론을 바라보는 시각이 단순하면 활용도도 단순할 수밖에 없다. 드론 비료 사업으로 7분에 200만원을 벌 수 있다며 잘못 알려진 이번 사례도 그 예다. 드론 기술과 산업계 이해, 우리나라 현실에 맞는 분석이 있어야 드론의 가능성 및 활용도를 넓힐 수 있다"고 밝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