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심사

한국인에 미안" 무릎 꿇고 흐느낀 일본인

728x90
반응형

'평화비' 앞 무릎꿇고 흐느낀 일본인 老목사
노무라 목사 "한국인에 대한 미안한 마음 연주로 담아"


"내가 얼마나 더 살지 모르니 이번이 마지막이라는 생각으로 연주했습니다. 일본의 침략이 없었다면 '봉선화'라는 곡이 탄생하지 않았겠죠. 특히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큰 의미가 있는 곡입니다."

13일 오전 10시40분께 왜소한 체격의 한 일본인 노인이 점퍼도 걸치지 않은 채 플루트 케이스를 들고 서울 중학동 주한 일본대사관 앞 '평화비'(위안부 소녀상)를 찾았다.

이 노인은 70~80년대 청계천과 경기도 화성 등지에서 빈민 구제 활동을 벌였던 일본 야마나시현 베다니교회의 노무라 모토유키(81) 목사.

평화비를 마주한 노무라 목사는 잠시 묵념을 한 뒤 악보를 펼치고는 플루트를 꺼내 홍난파 작곡의 '봉선화'를 연주했다.

2~3분에 걸친 연주를 끝낸 노무라 목사의 시선은 다시 평화비를 향했다. 그는 손수건을 꺼내 입을 가리고 흐느끼더니 이내 평화비 앞에 무릎을 꿇었다.

간신히 감정을 추스른 노무라 목사는 평화비에 장미 한 송이를 헌화한 뒤 '진혼가'와 '우리의 소원'도 연주했다.

연주를 마친 노무라 목사는 통역을 통해 "난 5살 때부터 (일본인들이) 한국인을 '조센진'이라 부르며 무시하는 것을 보고 마음이 아팠다"며 "75년간 느낀 한국인에 대한 그런 마음을 이렇게 연주로 담아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난 일본 사람으로서 너무나 당연한 일을 하는 것이다. 이것(일본군 위안부)은 국제적으로 미묘한 문제다. 이번 일로 난 일본 대사관의 블랙리스트에 오를 수도 있을 것이다. 모두 각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노무라 목사는 12일 경남 통영에서 열린 빈민운동가 고(故) 제정구 전 국회의원 13주기 추모식에 참석하기 위해 10일 입국했다.

그는 70년대 초부터 80년대 중반까지 제 의원 등과 함께 청계천과 경기도 화성에 빈민자활공동체의 탁아소를 세우는 등 구제사역에 힘썼다.

진정한 용기와 아름다운 마음씨를 가진 일본인들도 많습니다...목사님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