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전쟁 당시 1천여 명의 전쟁고아를 구한 딘 헤스 미 공군 예비역 대령이 3일(현지시간) 거주지인 미국 오하이오주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8세.© 연합뉴스
한국 공군에 따르면 2차 세계대전 당시 프랑스 전선에서 P-47 전투기 조종사로 활약 후 전역했던 고인은 6·25 전쟁이 발발하자 미 공군 전투조종사로 재입대했다.
1950년 6월 중순 미 극동 공군사령부에 배속된 그는 당시 미 공군에서 지원한 F-51 무스탕 전투기 10대를 한국 공군에 인도하기 위해 창설된 부대의 부대장으로 임명돼 한국 공군 전투기 조종사들을 훈련시켰다.
자신도 1950년 7월부터 1년간 250여회나 출격해 북한군과 맞서 싸웠다.
공군의 한 관계자는 4일 "6·25 전쟁에 참전한 미 공군 조종사는 100회 출격을 하면 비전투지역인 일본이나 미국으로 전출됐던 점을 감안하면 그의 헌신을 가늠할 수 있다"며 "특히 F-51 무스탕 전투기 조종 교육을 통해 항공작전의 불모지였던 초창기 한국 공군을 비약적으로 성장시켰다"고 말했다.
6·25 전쟁 당시 고인의 전용기인 F-51D 무스탕 18번기에는 그의 좌우명(By Faith, I Fly)을 한글로 번역한 '신념의 조인'(信念의 鳥人)이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었고, 이는 한국 공군 조종사의 기상을 상징하게 됐다.
특히 그는 1950년 말 중공군이 서울로 물밀듯이 내려오자 미 공군 군목 러셀 블레이스델 중령과 함께 15대의 C-47 수송기를 동원해 1천여 명의 전쟁고아들을 제주도로 무사히 피신시킨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이후 '전쟁고아의 아버지'로 불리기 시작했다. 1956년 미국으로 돌아간 그는 세 아들을 두었으나 한국 고아 소녀 한 명을 입양했고, 이후에도 20여년 동안 6·25 전쟁고아들을 지원했다.
한국 정부는 그의 공적을 기려 무공훈장과 소파상 등을 수여했다.
그는 1956년 '전송가(Battle Hymn)'라는 제목으로 6·25 전쟁 수기를 출간했고, 그의 사연은 할리우드의 전설적인 배우 록 허드슨이 주연한 같은 제목의 영화로도 만들어졌다.
6·25 전쟁 60주년인 2010년 그의 책은 '신념의 조인'이라는 제목의 한글 번역본으로 국내에서 재출간되기도 했다.
이 책에서 그는 "제일 마지막 차례의 어린이가 C-47 수송기 안으로 걸어 들어가 문이 닫히는 순간 내가 느꼈던 그 지극한 감사와 안도감은 내 평생 두 번 다시 찾아오지 않을 것"이라며 6·25 전쟁 당시 고아들을 구출했을 때를 회고했다.
'관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 브랜드 가치 세계 1위 (0) | 2015.03.05 |
---|---|
삼성전자. 갤럭시S6와 갤럭시S6엣지를 구매시 22개의 앱을 무료제공 (0) | 2015.03.04 |
LG전자의 시선으로 본 삼성 갤럭시S6… (0) | 2015.03.04 |
페블, 새 스마트워치 '페블 타임 스틸' 발표 (0) | 2015.03.04 |
스위스 Swisscom Galaxy S6 Pre-order 판매 가격 및 색상 공개 (0) | 2015.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