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심사

국민 메신저 '카톡' 으로는 'QR 출입' 못하게 됐다

728x90
반응형

정부가 10일부터 유흥주점 등 고위험 시설에 대해 QR코드 방식 전자출입명부를 가동하는 가운데, 카카오의 서비스 파트너 참여는 끝내 무산된 것으로 확인됐다. 방역 당국은 절대 다수가 쓰는 대중 서비스인 카카오톡에 QR코드를 넣어달라고 요청했지만, 카카오페이가 아닌 카카오톡 서비스엔 QR 코드를 제공하기 어렵다는 카카오와의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해서다.

10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앞서 정부는 이태원 클럽 사태 이후 유흥업소발 N차 감염이 이어지자 원활한 역학조사를 위해 QR코드방식 전자출입명부(KI-PASS)를 추진, 이날부터 8개 고위험 업종에 의무적용하기로 했다. 이태원 클럽 조사과정에서 출입자 명부에 허위 기재한 이용자가 많아 역학조사에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이다. 전자출입명부는 이용자들이 암호화된 ‘일회용 QR코드’를 발급받고, 시설 관리자가 이를 자신의 모바일기기에 설치된 앱을 통해 확인한 뒤 입장시키는 방식이다.네이버는 원활했는데, 카카오와는 난항방역 당국은 이에 지난달부터 국내 최대 인터넷 업체인 네이버, 카카오에 참여를 요청했다. 가입자 기반이 큰 업체들의 서비스를 통해 QR코드를 발급해야 실효를 거둘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네이버는 초기부터 적극 참여 의사를 밝혔으며 이달 초 시범사업에 이어 이날부터 본 서비스에 들어가 앱을 통해 QR코드 생성서비스를 시작했다. 

반면 카카오의 경우 처음부터 협의가 원활하지 않았다. 카카오톡에 QR코드 생성 기능을 추가하거나 서비스에 연동해 달라는 정부 요청에 카카오가 난색을 표하면서다. 방역 당국은 중장년층을 포함한 전국민이 사용하는 서비스여서 참여 시 시너지 효과가 클 것이라 봤다. 카카오톡이 별도 로그인이 필요 없어 중장년층 사용자들도 QR코드 생성의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원본보기

QR코드기반 전자출입명부 개요도 /사진=중대본

반면 카카오측은 카톡에서 QR코드를 직접 구현하기 어렵다며, 대신 별도의 ‘카카오페이’ 앱을 통해 QR코드를 생성하겠다는 대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방역 당국은 네이버앱보다 가입자가 적고 중첩되는 카카오페이앱은 전자출입명부 활성화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이에 중대본 명의로 수차례 카톡 방식을 재요청했지만 연거푸 거절당하자 결국 카카오와 논의를 끝내고 이통3사 패스앱을 통해 구현하는 것으로 선회했다. 
카카오 "현재 서비스에서 QR제공 어려워"...중대본, 간곡히 요청했는데...이에 대해 카카오는 “카카오톡에 기능을 넣으려면 기존 기능들과 충돌이나 메시징 기능에 영향을 주진 않는지 등 다양한 요소를 점검해야 한다”면서 “해당 기능은 현재 카카오 서비스 환경에서 제공하기 어렵다는 내부 판단이 있었다”고 밝혔다.


중대본 관계자는 “QR코드 생성은 간단한 기술이고 휴대폰 코드값만 4주 보관하다 집단감염 발생 시 결합하는 방식이어서 개인정보 우려도 없는데 카카오의 설명이 납득되지 않는다”면서 “정부가 민간기업에 참여 여부를 강제할 수 없지만 국가적 위기상황에 공적 기능이 있는 국민 메신저의 참여가 무산돼 안타깝다”고 에둘러 섭섭함을 내비쳤다.

이와 관련 업계에서는 과거 카카오가 ‘감청논란’과 그로 인한 ‘사이버 망명’ 사태에 대한 악몽이 이번 결정에 영향을 준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IT업계 관계자는 “솔직히 QR코드 생성은 기술적으로 간단하고 별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서 “아무래도 개인정보 문제일 텐데 암호화된 정보일지라도 가입자 관련 정보를 보관하고 외부기관에 제공하는 게 역효과를 초래하거나 선례가 될 것이라는 판단을 내린 것 같다”고 말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