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기존 기술보다 최대 8% 압축률 상승
구글이 빠른 데이터 전송을 가능케 하는 새로운 압축 알고리즘을 공개했다고 테크크런치가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구글은 이날 기존 표준기술보다 최대 8% 압축을 더 할 수 있는 데이터 압축 알고리즘 '좁플라이(Zopfli)'를 발표했다.
좁플라이 압축 기술을 이용할 경우 데이터 압축률을 높여 데이터 전송속도를 개선하고 웹로딩 시간을 줄일 수 있다. 구글은 이 기술을 오픈소스로 개방한다.
좁플라이 알고리즘은 스위스 취리히 소재 구글 엔지니어 로드 밴더밴이 '20% 시간' 투자활동의 일부로 만들어낸 것.
좁플라이는 압축 라이브러리이기 때문에 압축된 데이터는 기존 소프트웨어로 압축을 풀 수 있다. 또한 gzip, ZIP, PNG, HTTP 요청 등에 사용되는 압축 기술과 호환해서 사용할 수 있다.
좁플라이는 새로운 압축 알고리즘은 아니고, 기존의 zip 에서 사용하는 압축 알고리즘인 deflate 를 프로젝트 개발자가 구현한 implement 입니다.
deflate 알고리즘은 rfc1951 로 공개되어 있습니다만, 이는 알고리즘일 뿐이고, 실제로 프로그램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누군가가 알고리즘을 코드로 구현해야 되는데, 그중 제일 유명한것이 zlib 입니다.
zlib 는 c 로 작성되어 이식성이 좋고, 오픈소스로서 라이선스도 매우 자유로우며, 무엇보다 속도가 무지 빠릅니다.
(이런 이유로 알집이나 반디집 같은 압축 프로그램도 전부 zlib 를 사용하고 있죠.)
하지만 deflate 의 구현체는 zlib 만 있는것이 아닙니다. 7zip은 zlib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deflate/inflate를 구현하였는데, 이는 zlib 보다 압축율이 더 좋지만 속도는 약간 느립니다.
좁플라이도 deflate 의 구현체인데, 홈페이지의 내용에 의하면 zlib 나 7zip에 포함된 deflate 보다 압축율이 뛰어나다고 합니다. 똑같은 압축 알고리즘을 사용하는데도 불구하고 구현에 따라서 속도나 압축율에 차이가 날 수 있는데, 좁플라이는 압축율 향상에 초점을 맞추어 구현된거죠.
속도는 느리지만 압축율이 좋기 때문에 일반적인 압축 프로그램 보다는, 한번 저장하면 두고두고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파일을 생성할때 유용할듯 합니다.
728x90
반응형
'관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 작년 LTE폰 판매 1위… 아이폰5 하나로 삼성 제압 (0) | 2013.03.03 |
---|---|
대한민국의 흔한 독립 운동가 후손 모습... (0) | 2013.03.02 |
Apple's Passbook to be accepted at 13 MLB stadiums in 2013 season (0) | 2013.02.27 |
Xperia™ Z TV 광고... (0) | 2013.02.26 |
Think 브랜드 힘싣나.... (0) | 2013.02.25 |